요새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역사적으로 빠른속도로 올라가고 있는데요.
벌써 올해 들어서 6차례에 걸쳐 1.25% 금리 인상이 있었습니다.
기준금리가 인상됨에 따라 시중은행의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역시 상승하였는데요.
그렇다면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서 은행의 금리 변화가 어떻게 되는지 통계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ㅇ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화
한국은행은 지난 2021년도 7월까지 기준금리를 0.5%로 유지하다가 국내경제 양호한 성장세 지속 및
물가가 2% 이상 상회하는 오름세 예상하여 2021년도 8월 금통위에서 0.25% 금리 인상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꾸준히 0.25%씩 상승시키다가 2022년도 7월에는 한국은행 최초로 빅스텝(0.5%)을 실시했습니다.
2022년도 8월 금통위를 마지막으로 현재 기준금리는 2.5% 이며,
올해 남은 10월, 11월 두차례 금통위에서
최소 한차례 이상은 빅스텝이 예상됩니다.
JP모건에서는 10월 빅스텝과 올해 11월, 내년 1월과 2월에 각 0.25%씩 금리인상하여내년초에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3.75%까지 올라 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ㅇ 은행 대출금리 변화
비교대상 : 기준금리와 은행 대출금리 비교
※ 대출금리는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금리
비교시점 : 2021. 6. ~ 2022. 8.
먼저 아래 표와 같이 은행들의 대출금리 해당기간의 대출금리 평균값을 구해보았습니다.해당 자료는 은행연합회 대출금리비교 공시를 참조하였습니다.
당초에 제 생각에는 금통위가 월 중간이나 말에 열리기 때문에 그때 기준금리가 상승하고나서
금통위 다음달에 대출금리가 후행할 것으로 봤는데 위 데이터와 그래프를 보면 대출금리가 먼저 상승하고
기준금리가 상승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경제지식이 이렇게 부족합니다ㅠ 열공해야되겠어요
추가적으로 알아보니 대출금리는 COFIX를 기준금리로 하여 산정이 된다고 하는데
COFIX에 대해서는 아는바가 없기 때문에 추후에 공부해서 제대로 정리한번 해보겠습니다.
'경제·제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10. 12. 금융통화위원회 결과(통화정책방향) 및 향후 일정 (1) | 2022.10.12 |
---|---|
기준금리와 단기금융시장 (장기금리 단기금리 영향) (0) | 2022.10.12 |
`22. 9월 FOMC 점도표 공개... 2023년까지 4% 후반 기준금리 예상 (1) | 2022.09.22 |
해외주식정보 정보공유하는 해외사이트 STOCKTWITS (0) | 2022.06.29 |
주식용어 액면분할 주식배당 무상증자 의미 (0) | 2022.06.23 |
댓글